교육·훈련 | Education & Training/모의 UN 인권이사회 | Model UN HRC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KOCUN, 한국인권재단] 2010 대학(원)생 UN인권이사회 | [SNU Center for Public Interest & Human Rights, KOCUN, Korea Human Rights Foundation] 2010 Model UN Human Rights Council
교육·훈련 | Education & Training/모의 UN 인권이사회 | Model UN HRC2010. 7. 5. 00:00
2010 대학(원)생 UN인권이사회
|
2010 Model UN Human Rights Council
|
공문: 🔗
대회 안내서: 🔗 🔗
대회안내서 인권으로 미래를 만드는 「2010 대학생 UN인권이사회」
2인 1팀을 구성하여 modelUNHRC@naver.com으로 참가신청서를 보내주세요.
시상: 공동주최 기관장 명의의 상장 수여 |
Introduction: 🔗 (MS Word), 🔗 (PDF)
2010 Model UN Human Rights Council Seoul National University, July 5-6, 2010 The 2010 Model UN Human Rights Council provides an opportunity for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to learn about emerging human rights issues and trends in Korea and in the world through model participation on the Special Procedures and Universal Periodic Review (UPR) mechanisms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Through this program, participants can expect to build their expertise and leadership skills in the field of human rights, particularly in the role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NGOs promo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 Date: July 5-6 (Monday-Tuesday), 2010 (Accommodation not provided) Program Structure and Process - The two-day program will consist of mainly two sessions: UN Human Rights Council Special Procedure and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UPR). Special Procedure (Day 1, Afternoon): Participants will be divided into 6 Working Groups. Each Working Group will discuss one of the following 4 topics (2 themes and 2 country situations) ① Human Rights in Burma (Myanmar) ② Human Rights in North Korea - There will be four Working Groups for the Korean speaking teams and two for the English speaking teams. The two topics for the English speaking teams will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the selected participants. Universal Periodic Review (UPR) (Day 2, Morning): Participants will be divided into 3 Working Groups to review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South Korea (Republic of Korea). Application Procedure - Interested teams of two participants each should send a duly completed application form to ModelUNHRC@naver.com no later than May 19 (Wednesday), 2010 Awards and Prizes
Please contact Ms Kawon Lee, 02-6287-1210 or modelUNHRC@naver.com More detailed information is available at http://cafe.naver.com/ModelUNHRC |
사전교육: 🔗
- 일시: 2010년 5월 29일 (토)
- 장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15동 601호
[사전교육일정]
- 참가 등록 시 참가자는 국가 혹은 NGO를 제비뽑기를 통해 배정받고 UPR 질의 항목은 선착순 배정됩니다. * 참가자 전원은 대회 준비를 위해 www.ohchr.org를 방문하여 본인이 팀이 속한 실무분과 주제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고 추천도서를 통해 인권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일것을 권합니다. |
Pre-orientation: 🔗
- Date: Saturday, 29 May 2010, 13:30
- Venue: Room no. 601, College of Law (Building 16), Seoul National University
- Participants are expected to be assigned a country or NGO by drawing lots * For better preparation, participants are highly recommended to |
20 Themes for UPR Working Group | UPR 실무분과 주제 20: 🔗
20 Themes for UPR Working Group 2008년 5월 진행된 대한민국 UPR 실무분과에서 제기된 질문과 권고안과 한국이 가입한 국제인권조약 중 한국정부 보고서 심의를 한 6개의 조약이행감시위원회 권고안에서 언급된 주제 가운데 20개 선택. The following 20 issues were selected among the questions and recommendations made at the UPR Working Group on Republic of Korea held in May 2008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six UN human rights treaty monitoring bodies so far (CERD, CESCR, CCPR, CEDAW, CAT and CRC) 1. 국제인권조약 비준 및 이행 Ratif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their domestic implementation |
List of Member States and NGOs at the Special Procedure Working Group | 특별절차 실무분과 국가 및 단체 명단: 🔗
List of Member States and NGOs at the Special Procedure Working Group
|
2010 대학(원)생 UN인권이사회 자료집: 📥 📥
2010 대학(원)생 UN인권이사회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한국인권재단 사업소식)
2010 대학(원)생 UN인권이사회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지난 7월 5일(월)-6일(화) 이틀간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유엔인권정책센터, 한국인권재단이 공동주최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개최된 <2010 대학(원)생 UN인권이사회>가 참가자 및 내외빈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 되었습니다. ![]() ![]() 100여명의 참가자와 70여명의 특별참가자 및 심사위원, staff들이 환상의 호흡을 이루어 열띤 인권 논의의 장을 펼쳤습니다. 4개의 특별절차실무분과(북한, 버마인권, 식량권, 인종차별) 한국어팀과 1개의 영어팀(인종차별)이 진지하고도 치열한 논쟁을 통해 최종 결의안을 도출하였고, 한국정부대표단에 대한 UPR을 통해 나라별 권고안과 대표단의 입장을 표명하는 것으로 전체 회의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 ![]() ![]() ![]() 부대행사로 <도전! 인권 골든벨>과 <박원순 변호사와의 대화>, <이주노동자 밴드-스탑 크랙다운 공연>이 진행되었는데요, ![]() ![]() 진지하면서도 열정적인 (때로는 민망하고 귀여운) 참가자들의 모습이 아름다웠습니다. ![]() ![]() ![]() 모든 참가자가 1등이고 우수팀이었습니다. 그러나 한인섭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소장님이 환영말씀을 전하셨듯이 이번 회의는 서로의 성장을 도모하는 곳이되 강도 높은 경쟁의 무대이기도 했습니다. 행사 참석에서의 성실성 및 회의 진행 과정에서 각 분과/나라별 상황에 대한 이해 정도, 설득력, 팀별 협업 점수 등 총 11개 평가 항목에 대하여 엄정한 심사를 통해 5개팀(10명)이 각각 평등/자유/연대/평화/정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
[수상자 명단]
수상자들은 내년 1월경 제네바로 인권연수를 떠나게 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