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http://www.peoplepower21.org/Labor/1179879


2014. 7. 16.

 

참여연대, 정부의 전교조 법외노조화 및 교사들에 대한 고발 등 
인권침해에 대해 유엔 특별보고관에 긴급청원 제출

 

고용노동부가 해고자를 조합원으로 하는 규약을 이유로 전교조를 법외노조화 하고, 교육부가 교사선언과 집회에 참가한 교사들을 고발하는 등 교사의 집회결사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 것에 대하여, 참여연대는 오늘(7/16) 유엔 평화로운 집회결사의 자유 특별보고관,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에게 각각 이와 관련한 긴급청원(urgent appeal)을 제출했다.

 

고용노동부는 작년 10. 24. 부당해고된 조합원이 조합원 자격을 유지한다는 내용의 전교조 규약을 문제삼아 전교조를 교원노조법에 따른 노동조합으로 보지 않는다는 법외노조화 통보를 하였고, 서울행정법원은 지난 6. 19. 이러한 법외노조 통보처분을 취소해달라는 전교조의 청구를 기각했다. 교육부는 서울행정법원의 1심 판결 이후 전교조 전임자 복귀, 노조사무실 퇴거 및 지원금 반환, 단체교섭 중지, 조합비 원천징수 금지 등을 후속조치로 추진하고 있다. 해고자가 조합원이라는 이유로 노동조합의 권한을 박탈하는 것은 헌법과 국제법상 결사의 자유에 명백히 위반되는 것이다. 국제노동기구(ILO) 결사의 자유 위원회(The Committee of the Freedom of Association)에서는 지난 3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해고자를 노동조합의 조합원에서 배제하는 법규정와 이에 따른 전교조의 법외노조화는 명백하게 결사의 자유를 위반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를 시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또한 교육부는 서울행정법원의 1심 판결 이후, 조퇴후 전교조 집회에 참석한 교사들에 대하여 공무원의 공무외 집단행동을 금지하는 국가공무원법을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형사고발하고, 교사선언에 참가하거나 청와대 게시판에 글을 올렸다는 이유로 공무원의 정치운동 금지 및 집단행위 금지에 위반하였다며 교사 355명을 형사고발하였다. 그러나 조퇴후 집회참석은 법률상 보장된 연차휴가를 사용한 것으로 처벌대상이 될 수 없고, 교사선언 참가나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것이 법에서 금지하는 정치운동이나 집단행위라고 볼 수는 없다. 위와 같은 이유로 교사들을 형사고발한 것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심각한 침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이미 ILO, 세계교원단체총연맹(Education International) 등 국제기구들은 한국 정부가 주도하는 심각한 노동권 침해에 대하여 우려를 표하고 있다. 참여연대는 교사의 결사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한국 정부의 인권침해 현황에 특별보고관들이 주목해 줄 것을 요청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국제사회에 한국의 노동권을 비롯한 인권침해 상황에 대해 알려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 유엔 특별보고관 긴급청원제도 (Urgent Appeal)

유엔 특별보고관 긴급청원제도는 심각한 인권 침해 사례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당 유엔 특별보고관에게 전달해 국가가 최대한 빨리 인권 침해상황을 조사하거나 이를 막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사례에 따라 유엔 특별보고관은 해당 정부에게 서한을 보내 관련 인권침해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인권침해를 최대한 빨리 중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참여연대, 전교조탄압 관련 유엔 특별보고관에 긴급청원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청원서 전문을 크게 볼 수 있습니다

Source: http://www.peoplepower21.org/International/1171910


2014. 6. 23.

 

참여연대, 밀양 행정대집행 과정에서의 심각한 인권침해 유엔 특별보고관에게 긴급청원 제출

 

폭력적이고 과도한 공권력 사용으로 인한 인권침해 전달

정부의 송전탑 건설 중단 및 주민들과의 진정성 있는 대화 촉구 

 

 

오늘(6/23)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는 지난 6월 11일 밀양시청의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발생한 심각한 인권침해와 관련해 유엔 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 평화로운 집회결사의 자유 특별보고관,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 안전하고 깨끗하며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을 누리는 것과 관련한 인권 독립전문가에게 긴급청원을 제출했다. 참여연대는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벌어진 과도한 공권력 행사, 강압적인 철거로 인한 주민들의 부상, 변호인 접견권 침해 및 경찰의 불법 채증 사례 등을 특별보고관들에게 전달하였으며, 밀양 송전탑 건설 중단과 주민과의 대화, 그리고 국가인권위원회의 적극적 개입을 한국 정부에 촉구해줄 것을 요청했다. 

 

밀양시청은 765kV 송전탑 건설 예정지인 101번, 115번, 127번, 129번 부지에 지어진 농성장을 불법 시설로 규정하고, 6월 11일 새벽에 행정대집행을 강행했다. 100명도 채 되지 않는 고령의 주민들을 진압하기 위해 동원된 인력은 경찰 2,000여 명, 밀양 공무원 200여 명이었다. 강제철거 과정에서 경찰은 알몸의 고령 여성이 있는 움막 안에 남성경찰을 투입시켰으며, 쇠사슬을 목에 감고 있는 주민들을 무리하게 끌어냈다. 그 과정에서 응급실에 실려 간 환자들을 포함해 총 21명의 부상자가 속출했다. 경찰은 취재 중인 기자를 끌어내거나 접근을 막았을 뿐 아니라, 신분을 밝힌 변호사의 주민 접견도 막는 등 과도한 인권침해를 자행하였다. 지난 6월 17일 방콕 소재 아시아 인권단체인 포럼아시아도 밀양 송전탑 건설 과정에서 일어나고 있는 심각한 인권침해에 우려를 표하고 정부의 과도한 조치에 대해 규탄하는 공개서한을 청와대, 밀양시청, 한국 전력, 경찰청, 국가인권위원회에 전달한 바 있다. 


유엔 특별절차는 심각한 인권침해 발생 시 서한을 통해 정부에 국제인권기준에 따른 적절한 조치와 인권침해 중단을 요청을 행사할 수 있다. 특히 유엔 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은 작년 6월, 밀양 송전탑 건설 부지를 공식적으로 방문한 바 있으며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인권침해와 관련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어왔다. 참여연대는 밀양 송전탑 건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권침해 사례들을 국제사회와 유엔에 지속적으로 알리고 밀양 송전탑 건설 문제가 평화롭게 해결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밀양 주민들과 함께 연대할 것이다.

 

붙임문서1. 2014년 6월 11일 밀양 인권침해에 대한 유엔 긴급청원서 (한글)

 

1. 배경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일어난 반핵발전소에 대한 전 세계적 호소와 시민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부는 핵발전소 증설 계획을 강행해왔다. 한국 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핵발전소의 에너지 수급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리며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에너지 정책을 기반으로 현재 울산광역시 울주군에는 신규원전 신고리 3,4호기와 송전탑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신고리 핵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수도권과 대도시 등 인구 밀집 지역에 수송하기 위해 한국전력공사는 2007년 12월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아 밀양 시내 5개 마을에 765kV 송전탑 69기를 건설하고 있다. 

 

밀양 송전탑 건설 예정지 5개 마을 주민들은 환경파괴, 건강권침해, 농작물피해 등을 이유로 지난 2007년부터 765kV 초고압 송전탑 건설을 반대해왔다. 지역주민들은 한전과 관련 정부기관, 지역 국회의원, 청와대에 찾아가 대책과 문제해결 노력을 촉구하였다. 그러나 한전과 정부는 지역주민들의 절박한 호소에 귀를 기울이지 않은 채 공사를 강행했다. 

 

공사에 반대하는 주민들에 대한 한국전력 직원과 사설 경비용역들의 갖은 협박과 욕설 및 폭력은 끔찍한 결과를 낳기도 했다. 2012년 1월 16일 새벽 4시에 102번 공사현장에 모여 공사를 막던 주민들은 50여 명의 용역들로부터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설과 폭력을 당해야 했다. 이에 밀양시 산외면 희곡리 보라마을의 농민 이치우(74세) 어르신은 “내가 죽어야 이 문제가 해결 되겠다”는 말을 남기고 휘발유로 분신 자결하는 일이 발생했다. 

 

밀양 송전탑 건설 반대운동을 하던 마을주민들과 활동가들 중 많은 수가 연행되고 부상을 입는 등 인권탄압을 받았다. 밀양 송전탑 건설 반대 투쟁에 참여하는 주민들의 평균 연령은 70세다. 경찰은 고령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과격한 진압과 무분별한 연행을 감행했는데, 주로 일반교통방해, 업무방해, 공무집행 방해 등 인권옹호활동을 해체하기 위해 악의적으로 법률을 적용하였다. 2013년 10월과 11월 두 달간 경찰의 강제 진압과 연행으로 인해 발생한 환자의 수는 64명에 이르렀다.

 

밀양 주민들의 송전탑 건설 반대 활동이 8년째 지속되던 2013년 5월 29일, 한국전력과 밀양 주민은 전문가협의체를 통한 대안을 마련하기로 결정하고 40일간의 공사 잠정 중단을 합의했다. 그러나 한전의 불성실한 자료 제출로 전문가협의체는 제대로 가동되지 못했다. 결국 한국전력은 기존입장을 고수한 채 2013년 10월 1일 새벽부터 공사를 재개하였다. 공사재개에 저항하던 주민들을 막기 위해 경찰병력 3,000명, 한전직원 1,000여 명, 밀양시청 직원 150명에 달하는 인원이 투입됐다. 고령의 주민들을 상대로 4,000명이 넘는 공권력이 동원된 것이다. 

 

송전탑 공사에 반대하는 마을 주민이 음독 자살하는 일도 발생했다. 송전탑 건설 예정지 부근에 살았던 유한숙씨는(74세, 남)는 지난 2013년 12월 2일 밀양 송전탑 공사 반대 농성에 나섰다가 농약을 마시고 음독 자살을 시도했다. 직후 병원에 이송되어 치료를 받았으나 6일 새벽 끝내 사망하였다. 가족과 병원관계자들에 따르면 병원에 입원했을 당시 유한숙씨는 “철탑이 들어서면 아무것도 못한다. 살아서 그것을 볼 바에야 죽는게 낫겠다”는 생각으로 자살을 시도했다고 한다. 이후 2013년 12월 12일 故 유한숙 어르신을 추모하기 위해 밀양 시민공원과 서울 시청 앞에 임시분향소가 마련되었으나 이후 얼마지나지 않아 경찰들에 의해 강제 철거당하였다.

 

 

2 2014년 6월 11일, 밀양시청의 행정대집행으로 인한 인권침해 상황

1) 과도한 공권력 투입 및 무분별한 연행

 

밀양 주민들은 송전탑 건설 부지와 마을 입구 등에 반대활동을 위한 농성장을 짓고 생활해왔다. 이에 밀양시청은 송전탑 건설예정지인 101번, 115번, 127번, 129번 부지의 반대농성장을 불법 시설로 규정하고 6월 9일 영장을 발부, 6월 11일 새벽 6시에 행정대집행을 강행하겠다고 예고하였다. 그리고 6월 11일 당일 6시 10분에 행정대집행이 시작되었다.

 

이 날 4개 건설 부지 농성장에 집결해 있던 채 100명이 안되는 고령의 주민들을 진압하기 위해 동원된 인력은 경찰 2,000여 명, 밀양시청 공무원 200여 명이었다. 마을 주민들은 강제 연행되지 않기 위해 함께 모여 서로 팔짱을 끼고, 오물을 던지며 저항했고, 쇠사슬로 목을 매고 알몸으로 저항했다. 그러나 경찰은 강압적으로 진압을 시작했고, 심지어 알몸으로 저항하는 여성 주민이 있는 움막 안에 남성경찰을 투입시켰고, 강제로 주민을 끌어냈다. 절단기를 들고 주민들이 목에 감고 있는 쇠사슬을 무리하게 절단했다. 

 

경찰은 집회결사의 자유를 제한하였으며, 악의적으로 법을 적용하여 저항하는 주민들을 무분별하게 연행했다. 강제철거 과정에서 경찰은 송전탑건설 반대를 위해 평화롭게 저항하는 마을 주민 1명과 현장에서 마을 주민을 지지하는 인권옹호자 1명에게 ‘공무집행방해’를 적용하여 현행범으로 체포하였다. 

 

2) 부상자 속출

 

경찰과 밀양시 공무원의 강제철거 과정에서 많은 부상자가 속출하였다. 6월 11일 오후 3시 30분 기준 주민 6명, 수녀 7명, 시민 1명이 경찰의 폭력적인 강제철거와 진압으로 인해 부상을 입었으며 일부는 응급 후송되었다. 당일 정부의 행정대집행으로 인해 부상을 당한 사람들은 총 21명이다.

 

경찰의 강제철거 과정에서 마을 주민 박모씨(74세, 남)는 경찰에게 지팡이를 빼앗겨 넘어졌고, 이 과정에서 발목이 골절되는 중상을 입었다. 밀양 부북면 위양마을 주민 2명 역시 다리골절과 허리부상으로 치료를 받았고, 수녀 2명 또한 팔 골절 등의 부상을 입었다.

 

농성 주민들 대다수가 고령인 것을 감안하면 당연히 주민의 부상 가능성을 대비해야 함에도 경찰은 적절한 대비를 하지 않았다. 경찰은 오히려 부상자를 방치했다. 움막에서 끌려나온 노인들 중에는 고혈압 약을 복용중인 환자도 있었으나, 경찰은 농성장 철거 전 필요한 약품을 챙겨오는 것을 막았다. 그럼에도 당일 강제 철거 현장에 대기하고 있던 구급차는 한 대 뿐이었다. 

 

3) 변호인 접견권 침해 및 언론 접근 방해

 

경찰은 현장 취재 중인 기자를 끌어내거나 접근을 막는 등 언론 활동을 방해 했으며, 주민들의 변호인 접견권도 침해했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소속의 한 변호사는 “변호사 신분을 밝혔으나 129번과 127번 농성장 인근에서 공무집행방해를 한다는 이유로 끌려 나왔다”며 “불법적 행위를 저지르지 않는 이상 변호사를 끌어내는 행위는 불법체포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찰은 농성장 주민들을 분리, 고착시키면서 자신들의 조치가 체포가 아니라는 이유로 주민들의 변호인 접견을 제지했다.

 

경찰의 강제철거 행위도 불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법적으로 행정대집행의 주체는 밀양시청이 되어야 하고 경찰의 경우 만일의 상황의 대비해 보조적 역할만 이행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6월 11일 행정대집행은 밀양시 공무원보다 경찰이 먼저 나서서 강제 철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4) 불법 채증

 

경찰들은 강제철거 현장에서 채증 카메라를 동원하여 농성장의 주민들을 촬영하였다. 6월 11일 행정대집행이 시행되기 이전부터 경찰은 밀양에서 평화롭게 집회를 진행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채증을 남발해왔으며, 그냥 앉아서 쉬는 동안에도 상시적으로 채증을 해왔다.

 

경찰청 예규인 ‘채증활동규칙’에 따르면 채증은 ‘각종 집회, 시위 및 치안 현장에서 불법 또는 불법이 우려되는 상황을 촬영, 녹화 또는 녹음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2014년 4월 10일 경찰의 광범위한 채증에 대해 “헌법이 보장하는 집회의 자유를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집회 참가자가 불법행위를 하지 않은 경우 동의를 구하지 않고 채증 활동을 하는 것은 초상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지적하며 집회 및 시위 현장에서의 경찰 채증 활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경찰청에 권고한바 있다. 1999년 대법원은 ‘영장 없이 이루어지는 채증의 경우 집회 및 시위 참가자의 불법 행위가 행하여지고 있거나 행하여진 직후, 증거 보전의 필요성 및 긴급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해 제한적으로 적용돼야 한다’고 판결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양 현장에서 경찰은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채증을 남발하였다. 심지어 강제진압 과정에서 고령의 여성들이 손발에 경련을 일으키고 호흡곤란을 호소함에도 경찰은 주민들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기는커녕 그 상황을 비디오로 촬영하는데 그쳤다. 부상당한 주민을 범죄자로 취급하고 채증을 강행한 것은 명백한 불법이며 주민에 대한 비인도적인 처사이자 모욕적인 태도였다.

 

3.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는 밀양 행정대집행 과정에서 인권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13명의 인권지킴이단을 경남 밀양에 파견하였으며, 경찰청에 행정대집행과정에서 인권보호를 위해 노력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밀양 송전탑 건설 반대 농성장 현장에서 국가인권위원회 직원들은 경찰들이 주민들을 끌어내는 장면을 지켜보기만 하고 눈앞에 일어나는 인권침해를 직접 막지는 않았다. 인권침해 소지가 있다고 판단될 때 호루라기를 부는 수준으로 경찰의 인권침해 행위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주민들이 부상을 당하는 상황에서도 경찰에게 어떠한 문제제기를 하거나 제지행위를 하지 않았고 경찰과 주민의 충돌을 지켜보는데 그쳤다.

 

4. 요구사항

 

정부는 초고압 송전탑 건설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지역 주민들의 권리 보장을 실현하기 위해 진정성 있는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

 

경찰은 밀양 주민들과 인권옹호자들에 대한 더 이상의 인권침해를 예방·중단하고, 이미 철거과정에서 주민에게 과도한 물리력을 행사한 경찰력에 책임을 묻고 처벌해야 한다. 

 

국가인권위원회는 향후 공권력에 의한 인권침해 발생 시 적극 개입하여 정부와 경찰의 물리력 사용을 중단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붙임문서2. 2014년 6월 11일 밀양 인권침해에 대한 유엔 긴급청원서 (영문)


미국 국제종교자유위원회, "종교비방" 개념에서 탈피한 인권이사회 결의안 환영

USCIRF Welcomes Move Away from "Defamation of Religions" Concept

FOR IMMEDIATE RELEASE


March 24, 2011

 

WASHINGTON, DC -The U.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USCIRF) welcomed the UN Human Rights Council"s significant step away from the pernicious "defamation of religions” concept. Today, the Council adopted a resolution on religious intolerance that does not include this dangerous concept. The defamation concept undermines individual rights to freedom of religion and expression; exacerbates religious intoleranc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nd provides international support for domestic blasphemy laws that often have led to gross human rights abuses. The 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nference (OIC) has promoted this flawed concept at the United Nations for more than a decade.

"USCIRF and others, including the State Department, members of Congress, and NGOs, have worked hard against the defamation of religions concept for years. USCIRF specifically applauds Secretary Clinton and her team for today's result. We also thank Representatives Eliot Engel (D-NY), Christopher Smith (R-NJ), Shelley Berkley (D-NV), and Frank Wolf (R-VA), for their leadership roles on this issue,” said Leonard Leo, USCIRF chair. "Thanks to these efforts, and those of previous administrations and Congresses, more countries each year voted against the defamation of religions concept because they understood that blasphemy laws increase intolerance and violence. Tragically, it took the assassinations of two prominent Pakistani officials who opposed that country's draconian blasphemy laws-Federal Minister of Minorities Affairs Shahbaz Bhatti and Punjab governor Salman Taseer-to convince the OIC that the annual defamation of religions resolutions embolden extremists rather than bolster religious harmony.”

The efforts over the past several years by USCIRF, the State Department, Congress, and a broad coalition of NGOs helped bring about a steady loss of support both in Geneva and New York for the defamation resolutions. Since 2008, the resolutions have been supported by only a plurality of member states. In 2010, at both the UN Human Rights Council and General Assembly, defamation of religions resolutions garnered the least support and most opposition the issue had ever received, coming within, respectively, four and 13 votes of defeat.

In place of the divisive "combating defamation of religions” resolution, today the UN Human Rights Council adopted a consensus resolution on "combating intolerance, negative stereotyping and stigmatization of, and discrimination, incitement to violence, and violence against persons based on religion or belief.” The resolution properly focuses on protecting individuals from discrimination or violence, instead of protecting religions from criticism. The resolution protects the adherents of all religions or beliefs, instead of focusing on one religion. Unlike the defamation of religions resolution, the new consensus resolution does not call for legal restrictions on peaceful expression, but rather, for positive measures, such as education and awareness-building, to address intoleranc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based on religion or belief.

"USCIRF is gratified that this new resolution recognizes that religious intolerance is best fought through efforts to encourage respect for every individual's human rights, not through national or international anti-blasphemy laws,” said Mr. Leo. "What is needed now is for countries, such as Pakistan, that have blasphemy laws to eliminate them.”

USCIRF is an independent, bipartisan U.S. federal government commission. USCIRF Commissioners are appointed by the President and the leadership of both political parties in the Senate and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USCIRF's principal responsibilities are to review the facts and circumstances of violations of religious freedom internationally and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to the President, the Secretary of State and Congress.

Islamic bloc drops 12-year U.N. drive to ban defamation of religion

 

이슬람권, UN에서 12년 간 종교비방을 금지시키려는 운동 그만두다

March 24, 2011

 

Tags:

(U.S.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addresses the high level segment of the 16th sess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at the United Nations European headquarters in Geneva, February 28, 2011. REUTERS/Valentin Flauraud)

(U.S.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addresses the Human Rights Council in Geneva and urges it "to move beyond a decade-long debate over whether insults to religion should be banned or criminalised," February 28, 2011/Valentin Flauraud)

 

Islamic countries set aside their 12-year campaign to have religions protected from “defamation”, allowing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 Genea to approve a plan to promote religious tolerance on Thursday. Western countries and their Latin American allies, strong opponents of the defamation concept, joined Muslim and African states in backing without vote the new approach that switches focus from protecting beliefs to protecting believers.

Since 1998, the 57-nation Organisation of the Islamic Conference (OIC) had won majority approval in the council and at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for a series of resolutions on “combating defamation of religion”. Critics said the concept ran against international law and free speech, and left the way open for tough “blasphemy” laws like those in Pakistan which have been invoked this year by the killers of two moderate politicians in Pakistan. They argued that it also allowed states where one religion predominates to keep religious minorities under tight control or even leave them open to forced conversion or oppression.

 

bhatti funeral

(Funeral of Pakistan's Minister for Minorities Shahbaz Bhatti in Islamabad March 4, 2011. Pakistani Taliban assassinated Bhatti, a Catholic, for urging the repeal of the blasphemy law/Faisal Mahmood)

 

But Pakistan, which speaks for the OIC in the rights council, had argued that such protection against defamation was essential to defend Islam, and other religions, against criticism that caused offence to ordinary believers. Islamic countries pointed to the publication of cartoons depicting the prophet Mohammed in Denmark in 2005, which sparked anti-Western violence in the Middle East and Asia, as examples of defamatory treatment of their faith that they wanted stopped. However, support for the fiercely-contested resolutions — which the OIC had been seeking to have transformed into official U.N. human rights standards — has declined in recent years.

The new three-page resolution, which emerged after discussions between U.S. and Pakistani diplomats in recent weeks, recognises that there is “intoleranc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imed at believers in all regions of the world. Omitting any reference to “defamation”, it condemns any advocacy of religious hatred that amounts to incitement to hostility or violence against believers and calls on governments to act to prevent it.

The U.S.-based Human Rights First campaign group said the new resolution was “a huge achievement because…it focuses on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rather than religions” and put the divisive debates on defamation behind. However, diplomats from Islamic countries have warned the council that they could return to campaigning for an international law against religious defamation if Western countries are not seen as acting to protect believers.

 

(Supporters of the Sunni Tehreek religious party hold placards in support for Malik Mumtaz Hussain Qadri, the gunmen detained for the killing of Punjab Governor Salman Taseer, in Hyderabad January 9, 2011. Qadri, said he was angered by outspoken Punjab governor Taseer's opposition to Pakistan's controversial blasphemy law. Taseer, a liberal politician close to President Asif Ali Zardari, had championed the cause of a Christian woman sentenced to death under the blasphemy laws which critics say are used to target religious minorities, often to settle personal scores. REUTERS/Akram Shahid)

(Pakistani Islamists march in support of Malik Mumtaz Hussain Qadri, the gunmen detained for the killing of Punjab Governor Salman Taseer, assassinated because he advocated repeal of Pakistan's blasphemy law, in Hyderabad January 9, 2011/Akram Shahid)


Source:

http://blogs.reuters.com/faithworld/2011/03/24/islamic-bloc-drops-12-year-u-n-drive-to-ban-defamation-of-religion